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막 파울링과 막면에서의 현상

전문가 제언

수처리 시의 막 투과 성능의 경시적 열화인 파울링은 여전히 막 여과 시스템 보급 확대의 최대 장해물이다. 파울링의 발생 형태에는 공극 주변에서의 흡착에 의한 공극의 폐색, 미세입자의 공극 내부의 폐색, 막 표면의 케이크층 형성 및 큰 입자들의 공극 주변부 흡착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저하가 있다.

 

홋카이도대학 공학연구과 연구진은 비가역적 저항을 유발하는 물질의 구조 등을 규명하여 혁신적 수준의 막 파울링 물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Nitto Denko사와 Hydranautics사는 생물부착 등의 파울링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오염성이 높은 원수에 대해 RO막을 적용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고찰하는 LD Technology™를 개발했다.

 

한국막학회가 주최한 “2013 추계학술 발표회”에 따르면 서울대 바이오소재공학부 연구진은 ANPEGMA 공중합체를 합성, PAN UF 분리막의 코팅제로서 이용하여 PAN 분리막 대비 약 20% 내오염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기존의 SWRO 분리막 표면에는 아민기를 도입하여 부식산을 이용한 내오염성 테스트에서 유량감소율 5% 이하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외에도 “미생물 포식과 명반(alum) 응집 혼성공정에 의한 분리막 바이오 파울링 제어(UNIST)”, “하수 재이용에서 정밀여과막의 재질에 따른 오염 특성 분석(㈜에코니티)” 연구 등이 학계 및 산업계에서 발표되었다.

 

막 파울링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무엇이」, 「어디에서」 파울링을 발생하는가를 정확히 인지해야 한다. 막 파울링의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면 보다 효과적으로 파울링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막처리 도입은 한층 가속화될 수 있다. 따라서 막 파울링의 제어는 막의 세정, 적절한 막의 선택, 운전조건의 설정, 전처리와의 조합 및 수질변화 감시 등의 방법을 통해 종합적이며, 효율적으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

저자
Kazuho Naka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9(1)
잡지명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8~34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