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막을 이용한 고액계의 심층여과

전문가 제언

 

심층여과형 필터(DF)는 입자를 필터 내에 분산시켜 포착함으로써 여과저항이 저감되는 특성으로 인해 전자재료, 식음료, 각종 안료 등의 제조 시에 공정용 카트리지 필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DF로서는 유리섬유제나 비대칭형 폴리술폰제 이외에도 규조토나 페라이트, 셀룰로오스섬유 등과 고분자 여과막을 복합화한 여과막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들 DF는 눈막힘으로 인해 입자를 포착하기 위한 재생이 곤란하다. 복합화 DF 중의 규조토나 페라이트는 폐기필터의 소각처리 후에도 잔사로서 남는다.

 

우리나라의 경우, DF 연구는 2000년대 초 방진용 여과 카트리지의 개발을 시작으로 활성화되었으며, 최근에는 고기능성 섬유상 여과재의 개발에 따라 하폐수 처리용으로도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2008~2010)을 통해 “청정연소용 대용량 무탈진 심층여과 카트리지 및 개선형 여과장치 상용화 개발”을 추진했다. 생(www.sseng.co)은 '국제 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ENVEX 2013)'에서 비직조 여과층으로 심층여과 및 격렬 유동 역세로 염과 생물막 부착을 방지하며, 운전 중 정비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GFF(Gravity Flow Fiber) 필터'를 선보였다. 코오롱FM은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과 관련하여 ‘나노섬유 복합형 고효율 심층여과 필터 개발’을 진행 중이다.

 

앞으로는 고기능성 섬유기술의 우위성을 바탕으로 고성능 필터소재의 생산, 이를 통한 필터의 고부가가치화 및 DF의 여과특성 규명 등을 통해 고성능 필터의 수입 대체와 함께 향후 신규 제품시장 창출을 위한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저자
Takaaki Tan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9(1)
잡지명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1~27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