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에서의 고분자재료
- 전문가 제언
-
일본은 2005년에는 이미 초고령 사회가 되어 일상생활에서 지원이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 수가 450만 명을 넘어서고 있는데 그 중 20%는 질환 등에 의한 운동기(관절)의 장애가 원인으로 이 대책에는 인공관절 수술이 유효하게 되었다. 단 평균 인공관절의 내구년수는 약 10~20년 정도로 초고령 사회에서의 관절질환의 환자에게는 장래 필요로 하는 교체(재치환)수술이 크게 불안할 것이라는 상상은 어렵지 않다.
따라서 인공관절의 최대 과제는 장수명화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인공관절에 사용되는 고분자재료를 그 개발과 역사에 따라 소개함과 동시에 장수명화에 관한 기술 동향도 살펴본다.
문헌 상 최초로 기술된 인공관절은 상아제 인공슬관절이다. 이 슬관절을 뼈에 고정할 때 접착제 재료로 사용된 송진이 인공관절에서의 최초의 고분자재료이다. 그 후 고관절 질환에 대해서는 1950년부터 금속제 hinge(경첩)형 디바이스가 임상 사용되었다.
- 저자
- Yamawaki Noboro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26(3)
- 잡지명
- 成型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6~108
- 분석자
- 최*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