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배수처리에서의 막 이용

전문가 제언

분리막 생물반응기(MBR)는 콤팩트한 시설로서 고도처리가 가능하여 기존 하수처리장의 개축이나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등 하수도사업과 관련된 많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뛰어난 기술이다.

 

MBR에 관한 최근의 연구개발 동향은 막 소재, 엘리먼트/유닛, 막 파울링, 막의 세정법, 생물처리와 막 처리방법의 조합 및 전처리 등 매우 다양하다. 이 중 막 파울링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며 실제시설에서의 운전비나 에너지 사용량 등 보다 실무적인 테마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공간 절약화나 에너지 절약화 및 저비용화를 목적으로 한 새로운 MBR이 속속 개발, 실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4년 12월 출범한 수처리 선진화사업단을 통해 분리막의 국산화 및 MBR 공정의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용화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MBR 공정이 중소기업에서도 개발되고 있으며 '상등수 배출장치가 결합된 전해탈인형 간헐 내부순환 MBR 고도처리 기술이 적용된 하수처리장치(대진환경산업)'가 환경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다이텍연구원은 염색폐수 방류수의 재이용 전처리공정 확립 및 고도 물 재생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상용화 기반 확보를 목적으로 '원수조-오존반응조-MBBR-MBR-RO-재이용' 과정을 개발하여 '2014 대구국제섬유박람회'에서 선을 보였다.

 

앞으로 세계적인 선진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공법개발 위주의 연구에서 벗어나 중/대규모 처리시설의 MBR 설계 및 엔지니어링 노하우 등 취약한 기반기술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축적이 필요하다. 기술개발 항목으로서는 신규 막 엘리먼트/유닛의 개발과 실증을 포함하는 에너지 절약화, 저비용화 및 합류식 하수도에의 적용을 포함하는 적용대상의 확대 등이 중요하다.

저자
Kenji Kawasa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9(1)
잡지명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13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