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의 향기 성분에 의한 공기 질의 개선

전문가 제언

식물에 의한 환경 개선에는 식물의 흡수, 흡착에 의한 오염 물질의 제거와 식물에서 방출되는 다양한 phytochamical과 수분에 의해 인간에게 유익한 환경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공기 정화 및 실내 환경 개선 능력이 우수한 실내 식물을 환경친화적인 실내 재배 식물이라고 하며 최근에 웰빙 문화 확산과 더불어 웰빙 원예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민 건강과 관련해 실내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병원, 호텔, 지하철 등 다중이용시설, 유아시설, 학교는 물론 사무실의 실내 공기 질 개선을 의무화함에 따라 실내 환경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실내 공기의 주요 오염원인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실온에서 액체로 휘발하기 쉽고, 주로 벤젠, 클로로포름, 아세톤, 스틸렌,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물질이 검출되고 있다. 일반적인 발생원은 건축재료, 세탁용제, 가구류, 살충제, 카펫 접착제, 페인트 등으로 이들 물질은 건물 준공 후 6개월 이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목재가 방출하는 천연 VOC가 인체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며, 콘크리트 주택에서 발생하기 쉬운 곰팡이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발표했다. 특히 목재에서 방출되는 알파피넨과 리모넨은 스트레스에 의한 인체의 교감신경 활동을 완화하며, 실내에 번식하는 집먼지진드기의 행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최근 국내외 친환경 실내 환경관리 회사에서는 허브 향균제를 이용해 실내 공중부유 세균 제거, 피톤치드를 이용한 새집증후군 예방 및 삼림욕 효과, 바이오트리를 이용한 각종 실내 악취 및 세균, 곰팡이를 제거해 실내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저자
Ohira Tatsu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56(3)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3~48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