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산업에 이종금속 FSW 적용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최근 더욱 심화되고 있는 CO2 배출규제, 화석연료의 고갈, 연료비의 상승 등에 대응하는 수단으로 자동차의 연비향상과 배기가스 감축은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 각국은 하이브리드자동차, 전기자동차 등 전기에너지 구동 자동차 개발과 함께 차체구조 소재로는 고장력강재, 비철재료, 수지, CFRP 등 다양한 경량화 소재로의 전환이 빠른 속도로 진척되고 있다.

 

마찰교반용접(FSW: Friction Stir Welding)은 그 개발역사는 20여년에 지나지 않으나 지금까지의 아크용접과 비교하여 매우 작은 변형과 고강도의 양호한 접합품질, 그리고 이종금속의 접합이 가능한 특징으로 인해 고속선박, 철도차량, 항공기 분야 등 폭넓은 산업분야에 빠른 속도로 실용화가 진척되고 있다.

 

이 해설은 일본 Honda 기술연구소에서 자동차의 서스펜션, 파워 플랜트, 스티어링기어 박스를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Sub-frame)의 구조를 강과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재의 하이브리드구조로 재래의 모델을 혁신하여 제작하기 위해 마찰교반용접법을 응용한 예를 해설한 내용이다. 이 새로운 구조로 인해 구성부품 수는 40%로 삭감되고 중량이 25% 저감되며, 서스펜션 붙임 점강성이 20% 향상되었으며, 전 모델에 비해 MIG 용접장을 삭감하여 접합에 소요되는 소비전력을 50% 정도 삭감하는 획기적인 이득을 낼 수 있었음을 보고한 내용이다.

 

이 해설에서 제시된 이종금속 로봇 FSW기술, 이종금속 경계부에서 발생하기 쉬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청기술, 비파괴 인라인(In-line) 검사 시스템 기술은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료된다.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차체용 소재로 철강소재이외의 경량화, 다종화 소재 채용 기술, 자동운전과 같은 고도의 제어기술, 고도 정보통신 기술의 도입 등에 관한 기술개발과 더불어 무엇보다 생산성 향상을 고도의 접합, 조립기술 개발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SAYAMA Mitsyru, MIYAHARA Tetsuya, HATA Tsunehisa, YAHABA Takanor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3
권(호)
82(8)
잡지명
溶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03~608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