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주택난방 투자: 난방기기 선택의 동기와 태도

전문가 제언

에너지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는 멀지 않은 장래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를 대신할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요청된 지 오래이다. 이에 따라 노르웨이를 포함한 많은 국가는 신재생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발전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정책적 의제로 삼고 있다. 특히 주택난방에서 신재생에너지원을 연료로 하는 난방기기의 선택이 점차 늘고 있다.

 

가구주의 난방기기에 대한 투자에 있어 인식, 동기 및 가구주 및 주택특성의 중요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두 개의 모델을 선택하여 평가하였다. 첫째 모델은 이항로짓모델(binomial logit model)로 이에서 투자 또는 비 투자에 대한 결정을 탐구하고, 둘째 모델은 혼합 로짓 모델로 이는 투자하는 난방기기의 선택을 탐구한다. 이들 두 모델은 모두 무작위 효용모델(random utility models)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의 난방투자 결정과 난방기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조사이다. 난방투자와 선택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는데 다음과 같은 몇 개의 요인이 제시되고 있는데, 첫째는 경제적인 요소, 비용과 수입, 비경제적인 요소(거주특성, 인구통계, 환경에 대한 태세, 시간선호, 낡은 기구 폐기의 의지)와 둘째는 투자동기, 거주특성, 기후 및 일부 인구 통계적 요소에 의한 투자 결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겨울철 난방비용은 중요한 요소이다. 재생에너지 난방(특히 나무 스토브 및 팰릿 스토브)의 경우, 고비용이고 제도적인 지원책이 시행되지 않고 있어 아직까지는 보급이 되지 않고 있으나 대체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감축정책을 고려하면 국가차원에서 나무연료 난방에 보조금 등을 지원하여 장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로 인한 재정부담을 고려하여 값싸고 우수한 다른 난방시스템(예, 열 병합 등)을 보급할 수 있는지 면밀히 검토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저자
Shuling Chen Lillemo, Frode Alfnes, Bente Halvorsen , Mette Wi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3
권(호)
57()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12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