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바이오 콜 사업에 대한 매크로 및 마이크로 환경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는 멀지 않은 장래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를 대신할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요청된 지 오래이다. 이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세계 각국에서는 가장 값싸고, 효율적인 재생에너지의 개발을 위하여 목재 바이오매스, 농업 부산물, 생활폐기물, 가축배설물 등에 대한 활용 잠재력과 활용기술 개발을 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무연료를 기준으로 한 바이오 콜의 생산 잠재력과 이의 에너지전환에 대한 관심이 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핀란드에서 바이오 콜 사업의 기회와 도전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는 것을 시도하는 것으로서 이의 최종 목표는 핀란드에서의 바이오 콜 부분에 대한 현재의 상황을 확인하는 것과 핀란드의 바이오 콜과 관련된 매크로 및 마이크로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그림을 그린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① 핀란드의 바이오 콜 사업에 대한 현황, ② 핀란드에서 바이오 콜 사업의 매크로 및 마이크로 환경에서의 기대변화와 최근의 추진력, ③ 핀란드에서 바이오 콜의 매크로 및 마이크로 환경에서의 강점, 약점, 기회 및 위협은 무엇인가에 대한 검토이다.
○ 자원 부족국인 우리나라도 값싸고, 효율적인 재생에너지의 개발을 위한 임업 부산물의 수집과 활용 관련 기술개발 및 사회적인 시스템 구축에 정책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나무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대규모 사용을 위한 장비와 생산 시스템의 시장수요는 대단히 클 것으로 추정된다. 이의 일환으로 우리나라도 바이오 콜의 생산과 보급에 관계기관과 기업이 한번 관심을 가지고 검토해 볼 만한 프로젝트가 아닌가 생각한다.
- 저자
- Lei Wang, Mairita Lurina, Jukka Hyytiainen, Esko Mikkon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63()
- 잡지명
- Biomass and Bio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98~209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