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마모성 TiC 코팅기술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에서는 내마모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TiC코팅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초경합금의 내마모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공업적인 생산을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표면에 TiC를 화학기상증착(CVD) 혹은 물리기상증착(PVD)에 의해 피복코팅하는 것으로 전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기술에 의한 독특한 방법으로 코팅기술을 확립하였으므로 향후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기술의 개발과 발전 가능성이 상당히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본 발명에 의한 TiC코팅기술의 적용은 용접기술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를 위하여 레이저 클래딩, TIG, MIG와 PTA(Plasma Transferred Arc)용접이 제시되고 있지만 용도에 따른 세부적인 적용기술은 아직 정착이 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새로운 기술개발에 대한 여지가 많이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국내 기업체에서의 이에 대한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Ti계는 주로 TiC, TiN, TiCN, TiAlN 박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다중층(multi-layer)으로도 고기능화하여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코팅재료에 대하여 경제성, 사용수명, 용도 등을 고려한 품질(경도, 인성 등) 특성과 미시적 거시적 조직의 차이점과 장단점의 파악이 국내 중소기업체에서는 아직 미완성 상태에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체계적인 코팅기술의 확립이 가장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 티타늄은 산소와 강한 친화력을 갖고 있어서 티타늄합금 기판은 결합력이 높고 치밀한 TiO2 산화물 표면층으로 되어 있으므로 코팅 전에 예비처리 단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텅스텐 카바이드로 기판을 치핑(chipping)하거나, 불활성 분위기에서 산화물 층을 그릿 블래스팅(grit blasting) 혹은 베이킹(baking)으로 산화물 층을 제거하거나 밀링(milling)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예비처리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BRENCO SURFACE ENGINEERING PTY LTD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12140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5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