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D투자의 동인: 행동이론과 경영진 인센티브(대리인이론 관점)의 상호작용

전문가 제언

연구개발은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혁신을 추구하는 과정이다. "R&D투자의 동인: 행동이론과 경영진인센티브(대리인이론관점)의 상호작용“을 주제로 하는 본 논문은 행동이론과 대리인이론의 상호작용과 그 두 가지 이론이 기업의 R&D투자에 공동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혁신활동의 동인에 대해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행동이론은 기업이 성과, 조직슬랙(Slack)의 정도와 도산거리(Distance from bankruptcy)에 상응하여 R&D에 투자를 하게 된다는 것을 제시하고, 대리인이론관점은 R&D지출도 경영진인센티브(경영자지분과 스톡옵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기업의 R&D투자경향은 경영진인센티브의 성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영진인센티브가 위 세 가지 행동이론 변수와 R&D투자 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주식옵션은 이러한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나 경영자지분은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지니며 또한, 주식옵션이 R&D투자를 증가시키는 조직슬랙의 효과를 보완하고 경영진인센티브가 R&D투자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인다.

 

본 연구는 기업의 성과, 조직슬랙 및 도산거리에 상응하여 R&D투자를 한다는 행동이론과 대리인경영진인센티브에 의해 기업의 R&D투자가 영향을 받는다는 대리인이론에 의거, R&D투자의 동인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 R&D는 국가혁신역량의 확충을 통해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기업경쟁력의 원천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경쟁적으로 R&D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의 R&D투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룬 원동력이 되었으며, 그 금액은 현재 55조 4,500억 원으로서 GDP대비 4.3%로 세계 2위이고, 연구개발비규모는 세계 6위이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창의적 과학기술역량을 강화하고, 창조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R&D투자를 촉진하는 정책의 추진과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Todd M. Alessandr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4
권(호)
67()
잡지명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51~158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