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피혁 무두질 케미컬과 폐수의 생물화학적 처리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 피혁산업은 1980년대 중반까지 원피를 수입하여 대전, 대구, 경인 지역에서 무두질 준비작업, 재-무두질 및 유연가공 하여 국내 수요처에 공급하거나 수출해 왔다. 피혁공정 폐수는 산, 알칼리, 크롬염, 타닌, 용매, 염료 및 유연제가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처리로는 환경기준을 충족할 수 없었다. 그 후 엄격한 환경규제로 국내 피혁가공 산업은 중국 및 동남아지역으로 이전되었다.

 

국내에서 원피가공 산업이 사양화된 것의 가장 큰 원인은 무두질 프로세스욕조에서 나오는 혼합성분을 환경기준에 맞도록 처리하는 기술부족과 처리를 위해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무두질 공정처리 배출수는 지표수에 막대한 거품을 발생시켜 환경적인 민원 대상이 되었다.

 

피혁산업 폐수처리에서는 일반적으로 응집, 호기성프로세스 및 혐기성프로세스를 택하고 있다. 이의 생물학적 처리는 화학적 산화로 산업폐수 중의 유기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타닌농도가 높고 기타 생물분해가 어려운 혼합물을 생물적 처리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 또한 포기강도를 증가시키면 질화가 향상되어 총 질소를 줄이게 된다.

최근의 막은 높은 염 제거, 저에너지소비 및 높은 생산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막 가운데 가장 잘 설계된 PV(Pressure Vessel) 사용기반은 동일한 PV 속에서 다른 막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HID(Hybrid RO membrane Interstage Design) 분석에 의하면 막 투자비용의 5~8%를 운전 유지관리 면에서 이득을 얻는다.

 

이 글에서 EU의 종합 공해방지정책?녹색경제는 자연과 함께하는 화학적 방책을 요구하고 있다. 물 사용 최소화기술과 물 순환기술부문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리뷰에서는 앞에서 거론한 산업폐수의 재사용과 분리 유출수를 생물적 측면에서 관리할 수 있는 긴급기술에 초점을 맞추었다.

저자
Giusy Lofran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3
권(호)
461()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65~281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