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하수 슬러지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전문가 제언

지속가능한 도시 하수슬러지 관리는 도시인구 증가와 전통적인 슬러지 처분법인 매립법에 대한 환경적 규제의 강화로 인해 도시하수처리장의 주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슬러지(sludge) 즉 오니(汚泥)의 거동을 심도있게 이해해야만 현재의 도시하수처리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수슬러지의 점도·항장력(yield stress)·유변학(rheology)·요변성(thixotropy)·점탄성(viscoelasticity) 등과 같은 중요한 특성치에 대한 측정기기의 개발 연구문헌을 검토하고, 이러한 특성치에 대한 슬러지의 고형물 농도·온도·수분함량의 영향을 규명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시 하수슬러지에 대한 적절한 유변학적 모델(rheological model)과 레오미터(rheometer)의 선정도 대단히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어야 한다.

 

도시 하수슬러지의 유변역학적 측정치는 하수 슬러지의 물리학적 일관성·통일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고, 하수처리 프로세스의 디자인과 최적화에 있어서도 대단히 중요한 사항으로 증명되고 있다. 슬러지의 유변학적 특성 중에서도 슬러지의 요변적 특성치(thixotropic property)의 특정화는 가장 어려운 측정사항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한 다종다양한 모델이 연구 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특성치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방법론의 결여로 인해 그러한 모델을 증명할 수 있는데 이용할 수 있는 일관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슬러지의 유변학적 연구는 슬러지 처리 연구의 기반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기초과학 연구이다. 한국에서는 연구결과의 가시성과 효율성을 요구하는 사회적 기반으로 인해 슬러지의 유변학적 연구 등과 같은 환경과학적 기초연구는 연구비의 확보가 어려워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슬러지의 유변학적 연구는 연구결과의 단기간적인 효과를 얻기는 어렵지만, 일단 새로운 연구결과를 규명하게 되면, 슬러지 처리에 대한 세계적인 원천기술을 선점하고 확보할 수 있는 부문이므로, 한국인의 연구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저자
Nicky Eshtiaghi, Flora Markis, Shao Dong Yap,Jean-Christophe Baudez, Paul Slatt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3
권(호)
47()
잡지명
Water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493~5510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