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핵생물 제놈에 대한 잘못된 전망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현재까지 진핵생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제놈 염기서열결정연구가 발달되면서 진핵생물의 다양성이 편향되어 계통발생학적 가계의 빈틈을 채우지 못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저자는 이러한 실정을 비판하면서 어떻게 관련 과학계가 이런 빈틈을 채우기 위한 연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증거와 예를 들어 역설하고 있다
○ 진핵생물세포의 진화와 기원 그리고 진핵생물의 전체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은 많은 생물학 연구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그래서 진핵생물의 다양성 전체를 포괄하기 위한 계통발생학이 주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의 편향성을 극복하기 위해 공공분야에서 가지고 있는 수집 종 중에서 제외된 집단중의 하나를 대표로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배양하고 배양 증식이 어려운 생물에 대한 접근을 위해 단세포 유전체학(SCG)을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현재까지 사용할 수 있는 SAGs는 단지 해양미생물 진핵생물을 대표한다. 그래서 비록 분석된 SAGs가 편향된 것의 일부를 바로 잡을 수는 있어도 진핵생물의 전체 다양성을 커버할 수는 없다.
○ 진핵생물 다양성의 이해를 보다 더 증진하기 위한 SAGs의 잠재력이 인정되지만 중요한 하나의 의문은 고품질의 제놈 데이터가 SAGs로부터 얻어질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현재 SAGs를 이용할 때 전체 제놈의 증폭과정에서 나오는 편향 때문에 다양한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 진핵생물에 대해 넓은 분류군을 샘플링하는 것이 진화연구에서 큰 충격을 가져온 것이 명백하다. 되돌아보면 진화분석에서 주요 분류군(key taxa)이 없었기 때문에 현재는 틀렸다고 알려진 가설을 유도하게 되었던 것이다. 사실은 어떤 제놈 상(genomic)의 특징이나 형태학적인 특징이 보존되어있는가, 어떤 것이 진핵생물의 조상인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각각의 주요 진핵생물 가계도로부터 주요 분류군을 반드시 포함해 비교분석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 Javier del Camp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29(5)
- 잡지명
-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52~259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