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 속의 멜라민으로 식품의 멜라민 불순품 정도 표시
- 전문가 제언
-
○ 멜라민(C3H6N6)은 무색의 막대 모양 결정으로 분자량 126.12, 녹는점 347℃이며,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생산되는 멜라민 대부분이 합성수지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멜라민 수지는 내열성ㆍ내수성ㆍ기계 강도ㆍ강화성 등이 높아 공업적으로 대량 사용되고 있다.
○ 문제는 이 멜라민이 단백질 함량을 많게 보이기 위해 불법적으로 식품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2007년에 멜라민이 함유된 중국산 애완동물용 사료가 미국 등에 수출되어 개와 고양이가 심부전으로 죽는 사건이 발생했고, 2008년에는 중국에서 우유에 물을 타 양을 불린 후 멜라민을 섞어 가공한 분유를 유통한 일명 저질 분유 사건이 일어나 커다란 파문이 일기도 했다.
○ 미국 FDA의 기준은 1일 최대 섭취량(TDI)은 630㎍/㎏이고, 쥐에 대한 LD50은 3,161mg/kg이다. 이는 멜라민의 독성이 1mg/kg의 니코틴보다 약 3,000배 정도 약하지만 10,000mg/kg의 에탄올(술)보다 약 3배 정도 강하다고 비교할 수 있다. 멜라민을 장기간 다량 섭취할 경우 요로결석과 급성신부전 등 주로 방광 및 신장에 심각한 염증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알려졌다. 한편, 적은 양의 멜라민은 매일 섭취해도 인체에 해롭지 않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있다.
○ 국내연구로는 최근 2014년에 오 등이 “멜라민 수지 조리기구 중 formaldehyde 및 phenol의 이행에 관한 연구”에서 멜라민수지 조리기구 제조에 사용되는 formaldehyde와 phenol의 경우 식품에 이행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했다. 2009년 권 등은 “식품 기구·용기 중 멜라민 용출에 관한 연구”에서 멜라민에 의한 신장결석 보고 등 다수 있다.
○ 멜라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생체시료(요 및 혈액) 중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 분석을 위해 단백질 침전법 및 액체상 추출법 등으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신뢰성 있고 정밀한 멜라민 화합물의 미량분석법 개발이 시급하다.
- 저자
- Nitish Ra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30()
- 잡지명
- Nutr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80~385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