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라믹스의 기술혁신-도자기에서 뉴세라믹스로-

전문가 제언

최근 파인세라믹스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에 비하여 녹이 슬지 않고 불에 타지 않으며 손상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생체공학적으로 뛰어난 특성을 가진 것이 많다. 파인세라믹스의 주요한 응용으로서는 디스플레이, 에어컨 등 가전제품의 각종 소자, 집적회로의 기판, 핸드폰, 콘덴서, 가스누출센서, 헤어드라이어, 가스레인지의 점화장치, 스페이스 셔틀의 내열타일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세라믹스는 생체재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세라믹스는 생체물질 대용으로 사용되는 세라믹스로 열에 강하고 약품에 잘 견디며 잘 긁히지 않고 변형이 거의 없다. 또한 생물이나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는다. 바이오세라믹스의 한 종류인 다공질 세라믹스는 인공치아나 인공뼈, 효소반응 운반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스 제조의 기본 프로세스는 분말조정, 성형소결이다. 원료분말의 소결성질 향상 및 나노 소결조직을 실현하기 위해서 분말 합성기술이 정력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조립을 분쇄하는 기계적 분쇄법(Breaking -down Process)의 진보에 의하여 서브마이크로 이하까지 분체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는 방전플라스마소결(SPS: Spark Plasma Sintering)을 이용하여 Al2O3, ZrO2, TiO2, SiO2, MgO, CeO 등의 산화물계통 세라믹스 및 그의 복합재료도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리고 부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은 Y2O3, c-BN, TiN, SiC, ZrB2, TiO2, CaSiO3 등으로서 다종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이들은 입자성장을 최소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노분말 재료를 나노크기로 고체화가 가능하다.

 

사회구조가 점점 선진국 형태로 바뀌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제조업에 대한 비중이 차츰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핵심 소재산업은 여전히 지켜야 할 산업의 영양소이고 앞으로도 이 사실은 변함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핵심 소재산업에 있어서 연료전지용 세라믹스, 핵융합로용 세라믹스, 인공뼈, 인공관절, 인공치아, 로봇 등의 예와 같이 미래사회를 위한 세라믹스에 더 큰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Junichi HOJ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49(2)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6~81
분석자
강*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