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주 동물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철새의 이동이나 물고기의 회귀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회귀현상에 큰 변화가 있을 때에만 관심의 대상이 되곤 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물의 대량 이주는 철새나 물고기 이외에도 아프리카 초원의 영양 떼, 아프리카 동북부의 메뚜기 떼의 이동 등과 같이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철새에 의한 조류독감의 전파 등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동물의 대량이주가 인간 및 생태계와 깊은 연관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물의 대량이주가 이주지역 및 중간 기착지 등에 미치는 효과를 이동 효과 및 영양 효과로 분류하고 영양분 및 병원균의 전파와 포식 행위 등 동물의 이주가 가져오는 영향을 자세하게 소개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복잡한 요소들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새로 등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이론 접근방법에 대하여서도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자에게는 물론 정책입안자 및 환경 평가자들에게도 도움이 되게 하였다.

 

이주 동물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는 경제적 이유에서 주로 이루어져 연구가 대상이 되는 이주 동물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02년 독일의 주도 하에 ICARUS(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nimal Research Using Space)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본격적으로 동물의 이주와 생태계를 유기적으로 연관 지어 고려하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현재 ICARUS는 EU, 미국 러시아 등의 협조를 얻어 이주 동물과 생태계에 대한 국제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철새의 이동은 생물학적 관점에서, 바다 어종의 이동은 수산학적 관점에서 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발생한 철새에 의한 조류독감의 발생은 엄청난 경제손실을 가져와 더 이상 동물의 대량이동이 일부 특정학문 분야에 국한되어 연구될 수 없는 단계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으로 이주 동물과 관련된 생태계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물론 이주 동물이 옮겨오는 국가 또는 지역과의 공동연구 체계 수립, 그리고 국제 공동연구협약에의 가입 등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저자
S. Bauer and B. J. Hoy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44()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425521~12425528
분석자
김*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