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모듈원자로 설계의 기술 준비성 평가
- 전문가 제언
-
○ 전 세계적으로 안정적인 전기나 지역냉난방용으로 열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소형모듈원자로(SMR)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 원자로 노심의 특징으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 모듈식으로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할 경우 얻는 경제적 효과는 대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같은 SMR인 경우는 가능한 웨스팅하우스의 WSRM처럼 용량이 큰 것이 경제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mPower, WSMR, NuScale에 대하여 기술적 장단점과 건설상의 문제점, 운전 및 운영상의 문제점, 부지 문제, 정비 문제, 경제성 문제 등을 종합 분석하여 국제 시장에 내어 놓으면 사용자는 좀 더 확실하게 평가 분석하여 기술의 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 세 종류의 원자로 설계자의 공동으로 그룹을 만들어 국가별, 지리학적, 기후 관계, 담수 및 냉각수의 확보, 진입로, 역사적, 그 나라 국민성 등을 고려하여 어떤 원자로가 적합할 것인지 분석하여 아이디어를 공급하면 대상 국가도 더 큰 신뢰를 가지게 될 것이며 원자력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우리나라도 SMR을 개발하고 있으며 스마트 원자로로 알려져 있다. 위의 세가지 SMR을 참고하여 빠른 시일 내에 TRL 9에 도달하여 원형 원자로를 건설하거나 국제 시장에 상품으로 출시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Zhitao Liu, Jihong F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70()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0~28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