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철강재활용 도전과 정치적 해결

전문가 제언

철강 산업은 대규모 플랜트로 대량의 원료를 투입하고 많은 부산물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철강 산업은 “재활용사업의 꽃“ 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철은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철 스크랩(고철)을 회수해서 재활용하여 왔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철 스크랩을 수집해서 재활용하는 시스템이 정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는 중국의 철강재활용의 도전현황에 대하여 조사 평가한 것으로 풍부한 자원과 국내 뿐 아니라 외국에서 철 스크랩을 수입하고, 또한 세제혜택으로 재활용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지정학적으로 인접국가로 철 스크랩의 수출입과 가격정책이 재활용산업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

 

중국의 2013년 현재 조강생산량은 7억 7,900만 톤으로 세계점유율이 48.5%에 이르는 절대강자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6,851만 9,000톤(2011기준)의 10배가 넘는 것으로 향후 세계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 정부시책은 50개의 도시 광산기지, 10개의 금속슬래그 처리기지 그리고 17개의 금속슬래그 자기분리 및 철 슬래그분말 생산라인을 개설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금속재활용에서 중국에 열세를 보이는 점은 재활용산업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물량공급이다. 즉 철강 산업이 대규모이고 발생되는 철 스크랩 양이 많고 낮은 인건비로 경쟁력이 높다. 게다가 정부의 의욕적인 지원으로 철 스크랩 재활용환경은 매우 유리한 상태이다.

 

중국의 절강부산물의 재활용을 추진함에 있어서 주목해야 될 것은 그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이다. 물론 환경기술의 발전으로 환경오염에 대비하겠지만, 산업발전에 우선순위에 밀려 토양과 해양오염방지에 소홀히 할 경우 인접국가에 미치는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2012년을 기준으로 국내 조강업체는 84,259천 톤의 생산하는 과정에서 32,896천 톤의 철 스크랩을 사용해서 39.0%의 고철이용률을 보였다.

저자
ChinaJost Wubbekea,Timo Herot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87()
잡지명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