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최종에너지에서 수명기간 동안의 온실가스 배출량계수

전문가 제언

온실가스(GHG)를 세계에서 제일 많이 배출하고 있는 중국은 지구온난화와 온실가스 발생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배출량 감축을 위한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자료는 중국을 대상으로 연료의 종류에 따른 수명기간의 GHG 배출량계수를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국의 GHG 배출량 감소추세를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에 최종에너지 부문에서 수명기간 온실가스 배출량계수는 직접연소만을 고려하는 경우에 비해 연료의 종류에 따라 12-31%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 따라서 실제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종 통계에서 발표되는 수치보다 더 높을 수 있을 것이다.

 

GHG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은 연료의 종류에 따라 UNFCCC에서 정한 계수를 사용하면 간단히 산출할 수 있지만 수명기간 동안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원료의 생산, 수송 및 정제공정에서 발생하는 GHG도 모두 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계수가 필요하다.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중국에서 수명기간 동안의 배출량계수는 배출량 감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적으로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나라 중에 하나이며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수명기간 동안의 GHG 배출량계수 및 실제 배출량을 정확히 산출하여 앞으로의 에너지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자료에서는 우리의 인접국이며 우리나라의 환경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국의 에너지부문을 대상으로 수명기간 동안의 온실가스 배출량계수와 배출량 추세를 파악할 수 있어 큰 참고가 된다고 생각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원자력발전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 발전에 따른 GHG 발생이 적은 편이며 또한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정책을 펼치고 있어 이에 따른 효과를 정확이 산출하는 것이 앞으로의 에너지정책 및 환경정책 추진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Jiang Lixue, Ou Xunmin, Ma Linwei,Li Zheng, Ni Weido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3
권(호)
37()
잡지명
Energy Procedia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848~2855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