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로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 전문가 제언
-
Tokyo전력 Fukushima 제2원전에서 2013년 11월 연료봉 인출작업이 시작되었다. 아직까지 누구도 경험한 바 없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일본 원자력기술을 최대한 살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편 원자력기술을 구사하는 것 만으로는 폐로작업이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 현실이다. 방사성폐기물을 저장 처리함에 있어서 앞으로 몇 십 년간 국민에 설명하여야 한다. 폐로작업은 단순히 기슬적인 안전이 확보되면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 전문가가 아닌 사람에게 과학적인 설명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앞으로의 폐로작업에는 이 관점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이하 RC)의 관점에서 앞으로의 문제를 다루었다.
RC의 입장에서 염려하는 것은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문제를 일반사람이 이해하는가 하는 점이다. 피해지의 잔해처리를 둘러싸고 각 지방자치단체가 받아들이는 것을 반대하는 운동이 일어났던 기억이 생생하다. 방사선이 거의 검출되지 않는 일반폐기물이라도 반대의 의사는 바뀌지 않았다. 폐로과정에서 나오는 방사성폐기물이라면 더욱 더 거부할 것이다. 현재 Fukushima현 내에 중간저장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으나 방사성폐기물의 처리를 그대로 Fukushima현에 방치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 저자
- M. Nishizaw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56(4)
- 잡지명
- 日本原子力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56~258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