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내열 절연전착도료의 도막형성 제어기술

전문가 제언

전착도장은 미국에서 탄생한지 근 60년이 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음이온형 전착도장 초기에 제설용의 염화칼슘으로 자동차가 부식되는 피해로 방청력이 향상된 양이온형 전착도장으로 전환되었다. 최근까지 경화촉매 및 부식방지용 납을 함유한 도료를 사용하였으나 환경규제로 도료를 환경 친화적 도료로 대체하거나 도금기술이 폐수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전착도료 기술은 수지와 도료개발이 통합된 기술이므로 국내 회사들은 독자개발이 어려워 외국 기술제휴사(KCC -Herberts, 동주-PPG, 대한-Nippon Paint)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친환경적, 친경제적인 무연(Lead-free)도료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여 향후 지속할 전착도료 시장에서의 자체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1978년부터 자동차산업에 전착도장 설비가 국내에 도입되었다. 국내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40% 이상이 전착도장에서 발생한다. 도장 라인의 VOC 삭감을 위해서 선진국에서는 연소 흡착식 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세정식 집진시설로써 입지여건과 생산 차질로 인해 현실적으로 방지시설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보완책으로 도장분사량의 자동화 및 VOC 배출을 억제하는 시설을 추가로 설비하여 환경오염을 억제해야 할 것이다.

 

도장공장의 장래 요망은 소형화이다. 전착도장공정을 단축하는 전착도장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공정단축은 비용만이 아니라 에너지절약, 자원절약, 저VOC 등을 동시에 만족한다. 전착도료도 더욱 개발하여 통전 시간을 단축하면 동일한 전착설비라도 생산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착도장의 불량의 원인은 전착도료와 전처리제의 선정, 전처리 마무리의 균일성, 전착도료 욕조의 전압전류, 도료의 온도관리, 출조 시 완전수세, 건조로의 먼지 등이다. 전착도장의 전처리에서 사용하는 고농도의 망간·니켈 등의 중금속류, 인산 등의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물질을 피할 수 있는 지르코늄 같은 물질을 찾아야 한다.

저자
Koji IZUMI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5(4)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2~157
분석자
강*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