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 나안 3D 표시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CT장치에 통해 통상적으로는 볼 수 없는 인체의 3차원영상을 얻을 수 있지만 종래는 그것을 3차원 그대로 표시하는 방법이 없었다. 외과의는 수술 전이나 수술 중에 혈관이 복잡하게 중첩된 영상을 여러 방향에서 관찰하여 머리로 3차원 구조를 상상하였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한 나안 3D 표시 시스템은 3차원구조를 3차원 그대로 직감적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외과의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의료용 나안 3D 표시시스템의 개요와 집적영상(integral imaging)(II)방식에 의한 입체감제어기술에 대하여 기술한다.
II방식은 액정 패널의 표시 면에 가늘고 긴 어묵형 렌즈를 나란히 렌치큐라시트와 겹쳐 부처서 다른 방향에서 본 영상정보를 렌즈배면의 화소에 배치한다. 이 화소로부터 나온 광은 렌치큐라렌즈에 의해 진행방향이 한정되어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시차가 있는 광선이 입사하여 입체시가 실현된다. 렌즈에 할당된 화소 수(시차 수)가 많을수록 입체감이 향상되어 바른 입체시가 가능한 관찰각도(시역)도 넓지만, 3D영상의 해상도가 저하된다. 그래서 해상도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관찰에 충분한 시역을 확보하기 위해 입체지각에 민감한 수평방향에만 시차를 갖는 1차원 II방식을 채용하였다.
- 저자
- Kokojima Yoshiyuki,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3
- 권(호)
- 68(12)
- 잡지명
- 東芝レビ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4~37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