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의 새로운 표적인 막유동섬
- 전문가 제언
-
○ 막유동섬(membrane raft)들은 콜레스테롤과 스핑고지질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세포막의 뚜렷한 미세영역으로서, 여러 수용체들과 그 하류분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 내로의 여러 신호경로들을 조절한다. 세포증식, 세포부착과 세포이주 및 세포자살의 변화가 여러 종류 종양들의 개시와 전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최근의 여러 실험 증거들에서 유동섬이 이들 각 과정에서 활동적 역할을 함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유동섬 단백질들의 조절과 그에 이은 세포 신호계 및 종양 진행에 대한 효과들에 대한 정보들의 이해가 관련 암들의 치료전략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이 리뷰는 종양세포의 생장과 침투에서의 유동섬의 역할에 관한 것과 유동섬을 표적으로 하는 강력하고 새로운 종양 치료법에 대해 초점을 두고 알아본 것이다.
○ 연구자들은 ① 종양세포들에서 유동섬 의존 막수용체 신호경로들, ② 유동섬 의존적인 종양세포들의 침투능과 전이능, ③ 종양의 생장, 생존 및 전이와 관련된 경로들에 대한 유동섬 조절물질들의 영향, ④ 세포자살에 대한 종양세포들의 민감도에 대한 현재까지의 정보들을 기술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연구자들은 암세포들의 생장, 세포자살 감수성, 침투능과 전이능과 같은 여러 단계의 악성 형질전환에서 유동섬의 역할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천연 및 합성 유동섬 표적 물질들이 각 종양의 중요한 항암 치료제가 될 수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 또한 앞으로 암 치료 전략으로서 유동섬을 변형시키거나 파괴시키는 자연 발생적 인자들에 관해 초점을 두고 발전되어야 하겠다고 제안하고 있다.
○ 국내의 생명과학 관련 학과들과 국책 연구소들 및 제약계 연구소들에서 암 치료 전략에 관한 기초 및 치료법 개발 연구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은 상당히 많으며, 그들의 연구 수준은 선진국의 수준과 대등하다. 그들에게 막유동섬을 표적으로 하는 암 치료 전략에 관한 본 리뷰의 내용은 암 치료제 개발 및 치료 전략 설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Anita Hryniewicz-Jankowsk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845()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55~165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