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M-CNC 통합에 의한 공작기계 지능화
- 전문가 제언
-
○ CAM은 제조 과정상의 다양한 공정을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해 일반 제조과정에 계통적인 컴퓨터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제조상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총괄적으로 통제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물론 이러한 대형 CAM 시스템을 구성하려면 일반 범용 NC 시스템 및 적응제어 NC 프로그램이 선행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3축 및 5축 NC 데이터를 생성하고, 가공 시뮬레이션 및 로봇 시뮬레이션 기능이 있다.
○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란 컴퓨터가 활용(내장)된 공작기계를 말한다. 따라서 컴퓨터를 내장한 NC를 CNC라고 부르며, 반도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현재 NC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CNC를 의미한다. 또한, 유저(user)의 끊임없는 요구와 전자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유저가 가공 조건을 자동 결정할 수 있는 대화형 CNC, 그리고 최근에는 PC를 활용하는 Open CNC로 발전하고 있다.
○ CNC 컨트롤러(Controller)는 공작기계 가격의 약 30~60%를 점유하며, 공작기계의 편리성, 정밀성, 신뢰성 등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인데, 세계 수요의 50%를 일본의 FANUC 사에서 독점적으로 점유하고 있다. 독일의 SIEMENS가 15%, 그리고 일본의 Mitsubishi가 15% 점유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들어 삼성전자, 터보테크, 현대중공업, 기아중공업 등의 업체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NC 공작기계연구조합을 구성하여 공업 기반 중기거점 과제로 CNC 컨트롤러 국산화 개발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부와 공작기계 업계는 우리나라의 공작기계 산업을 세계 제3위의 생산국으로 부상시키고 공작기계에 대한 무역수지를 흑자로 전환시킬 뿐만 아니라 주요 수출산업으로 육성시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Keiichi Shiras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3
- 권(호)
- 52(1)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7~22
- 분석자
- 배*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