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체기능 발현의 동적 메커니즘의 해명을 위한 통합적 생체공학 연구

전문가 제언
○ 생체공학은 생체의 우수한 기능을 연구하여 그 오묘한 메커니즘을 공학적으로 해명하는 일이며, 생체의 기능을 공학에 환원하거나 의료, 복지, 또는 전자정보 등에 응용하는 학문이다. 다시 말해서 21세기에 접어들어 인간중심 산업사회를 맞이하여 인간 및 동물의 우수한 생채기능을 첨단 공학기술을 이용하여 해석하고, 그 결과로 얻어지는 새로운 정보나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기존 공학기술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체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새로운 첨단기술을 개발한다.

○ 생체기능의 연구는 Norbert Wiener의 사이버네틱스를 원류로 하여 개체의 운동, 신경 정보처리, 순환계 동태와 그 조절 혹은 생체 항상성 등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또한, 생물계에서 자기 조직화나 일반 시스템 이론은 현재에도 정력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복잡계 과학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 인간 게놈(Genome) 프로젝트에 의해 인간 게놈의 구조 및 게놈 내에 존재하는 gene에 대한 정보가 밝혀진 바 있다. 이들 gene이 코딩하는 단백질과 noncodin DNA와 같은 생체고분자의 기능과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미국, 일본, 유럽을 중심으로 이러한 연구를 국가차원에서 지원하기 위한 장, 단기 연구 프로그램을 대규모로 진행해 오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연구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통합적 생체공학을 위한 집단연구 규모는 해외 연구단과 비교해 그 규모가 작을 수밖에 없지만 국제적인 연구공조를 통해 특정 질환 및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프로테옴(proteom), 구조 프로테옴 관련 국제연구 프로그램에 국내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대 구조연구팀은 결핵균에 대한 국제 구조 프로테옴 연구 컨소시움에 참여하여 많은 결핵균 단백질들의 구조 및 구조에 기반한 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적인 연구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저자
Taishin No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2
권(호)
51(10)
잡지명
計測と制御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927~933
분석자
배*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