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비암호화 RNA들(lncRNAs): 발생과 질병에서 세포주소 암호들
- 전문가 제언
-
○ 유전자 발현은 주로 핵 중앙에서 일어나지만, 발생 중 각 유전자들은 그들의 전사 상황에 따라 핵 내에서 그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절한 시?공간 배치와 발현율을 정확하게 해주는 유전자 발현의 복잡한 업무에는 유전체, 염색질 변형들 및 염색체들과 핵도메인들 등의 비암호화 부위들이 관여한다. 이 리뷰는 진핵세포 핵에서 분자주소 암호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긴 비암호화 RNA들(long noncoding RNAs; lncRNAs)에 의한 발생과정 동안 세포운명 조절 기전들과 lncRNAs의 조절이상에 의한 염색체 결실이나 전위 등에 의해 생기는 인간질병들에 관해 살펴본 것이다.
○ 요약하면, lncRNAs의 사용이 부위-, 위치- 또는 대립인자-특이적인 주소들을 만들 수 있게 해줌으로써, lncRNAs가 염색질 상태와 염색체자리 또는 특정 유전자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기전으로서, lncRNAs를 유전자 프로모터들로의 접근성 변화에 의해 유전자 발현을 침묵 또는 활성화시키는 방법들, lncRNAs에 의한 핵도메인 형성과 이를 통한 공간적 조절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기구들, lncRNAs의 특정 염색체자리와의 상호작용 촉진에 의한 염색체들의 3차원적 구조의 조절 기구 및 lncRNAs에 의한 세포질에서의 여러 단계의 전사후 조절 기전들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lncRNAs의 조절 이상과 연관된 멘델성 유전질환과 각종 암들의 진단과 치료 전략을 제시한 것이다.
○ 국내의 생명과학 관련 학과들과 연구소들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과 그 조절이상-연관 질병들에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매우 많다. 이들에 게 본 리뷰는 lncRNAs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에 대한 유전학적 기초 학술이론 개발과 이에 근거한 연관 질병들(유전병과 암들)의 예방과 치료 전략을 세우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저자
- Pedro J. Batista and Howard Y. Cha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3
- 권(호)
- 152
- 잡지명
- Cel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98~1307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