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운명 결정에서 핵막하층의 중요성
- 전문가 제언
-
○ 진핵세포 유전체 구성의 복잡성과 가변성은 줄기세포들이 다양한 조직들이나 분화된 세포들로 되는 변형능에 의한다. 간기 때 염색체들은 유전자 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구조물과 구획들이 공간적으로 배열된다. 이때 세포형들에서의 핵막하층(nuclear lamina; NL)과 핵막하층-연관 염색질 도메인들(LADs) 간의 상호작용이 세포 분화와 발생동안 동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세포운명 결정에 관여한다. 이 리뷰는 세포운명 결정과 관련된 핵막하층 구성의 시공간적 변화들에 의한 유전체 기능, 세포 정체성 및 발생-분화 능력 등에 관한 최신 지견들을 알아본 것이다.
○ 연구자들은 NL을 이루는 라민(lamin)의 종류[3가지 유전자에 의한 A형(라민 A/C)와 B형(라민 B1과 B2)]의 그 기능적 특성들인 핵의 기계적 위상과 모양 유지 및 염색질 조직화와 유전자 조절 역할, 핵말초부와 유전자 억제 기구와의 관련성에 대한 지론들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분화-관련 질병들에서의 유전체-NL 역학들과 NL-조성의 역학에 근거하여, NL 조성의 역학이 각 세포들 대립유전자들의 리모델링과 효과적 침묵에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유도성 만능줄기세포들(iPSCs) 제작을 위한 역분화 시 재프로그래밍의 성공을 위해서는 염색질-핵막하층 변화들과 계열 발생 및 최종 분화에 관련된 NL 조성에 의한 단계적 진행에 관한 이해가 필연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 세포분화, 발생생리, 분자생리, 줄기세포 분야 등의 기초 및 응용연구에 종사하고 있는 국내의 여러 연구자들과 기술자들도 본 리뷰에 제시된 세포운명 결정에서의 핵막하층의 중요성과 그 기전들을 상기하고, 기초 및 응용연구에 매진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Kevin Van Bortle and Victor G. Corce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3
- 권(호)
- 152
- 잡지명
- Cel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13~1217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