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죽상동맥경화증, 심근 경색 및 심부전에서 백혈구들의 행동

전문가 제언
○ 전 세계적으로 다른 어떤 질환보다 심혈관 질환들이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병인적으로 볼 때, 심혈관 질환들의 주 원인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과 뇌졸중(stroke)의 근원이 되는 혈관 벽의 지질(특히 LDL)-풍부 상해 부위에서의 만성 염증성 질환인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이다. MI로부터 회복된 사람들도 종종 부적절한 심장 펌핑을 만성적으로 일으키는 치명적인 울혈성 심부전(heart failure; 심장마비)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심혈관 질환들과 합병증의 진행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백혈구들이다. 이 리뷰는 죽상경화증, MI 및 심부전에서의 백혈구 기능들에 관해 살펴 본 것이다.

○ 연구자들은 현재까지 밝혀진, 죽종(atheroma) 상해부위(병소)에의 여러 자극들에 반응하여 두 종류 단핵구인 염증성 단핵구(Ly-6Chigh)와 수선용 단핵구(Ly-6Clow)의 이동과 그 작용기구, 이들이 대식세포로 분화되어 염증성 시토카인과 단백질 분해효소의 분비 그리고 T세포, 호중구들, 비만세포들 및 혈소판들의 작용에 의한 만성 염증에 의해 죽종을 죽상경화로의 진행시키는 기전, 죽상경화증에 기인한 심근경색과 심부전을 일으키는 데에 관여하는 여러 종류 백혈구들의 작용기구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심혈관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백혈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적 접근법은 아직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데, 저자들은 그에 관련되어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기초 생물학적 의문들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들이 제시한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국내의 관련 연구진들(대학, 연구소, 제약회사 벤처기업 들)도 이에 근거한 연구들을 수행한다면, 백혈구 기능을 자기-파괴를 조정하면서 파괴적인 심혈관 질환 결과를 지속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하기 위한 치료법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저자
Filip K. Swirski and Matthias Nahrendorf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3
권(호)
339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1~166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