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질병에서의 전사조절 이상

전문가 제언
○ 사람에서 특정 세포 상태를 확립하고 유지하는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은 수천 개의 전사인자들, 보조인자들 그리고 염색질 조절인자들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의 조절이상은 암, 자가면역병, 신경성 이상증,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등과 같은 여러 질병들과 증후군들이 유전자 발현의 조절 이상에 의한다. 본 리뷰는 전사조절에 대한 것과 전사조절 이상이 어떻게 질병을 일으키게 하는 가에 대한 최신 지견들을 알아본 것이다.

○ 연구자들은 먼저 현재까지 밝혀진 전사조절 유전자들과 촉진자 요소들의 종류와 기능, 전사조절에서 개시와 신장과정 동안 전사활성자들과 신호경로들 및 그 밖의 조절자들의 정보를 통합하는 중요 역할을 하는 보조활성자인 매개자 복합체(Mediator complex; P300)의 특성과 역할, RNA 중합효소 II에 의한 전사 개시 후 20~50 bp 정도의 짧은 거리를 전사한 다음 중단하는 중단과 중단 해제(pause release) 기구와 역할, 전사 개시동안 촉진자들과 핵심 프로모터 요소들 간의 DNA 고리 형성과 유지 역할을 하는 코헤신(cohesin)의 작용기구, 염색질의 기본 단위인 뉴클레오솜을 이동시키거나 히스톤 구성성분들을 변형시키는 단백질 복합체들에 의한 조절 기구에 대해 정리하였다.

○ 이어서 연구자는 조절 부위들, 전사인자들, 보조인자들, 염색질 조절자들과 비암호화-RNA들의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는 암, 자가면역병, 염증성 질환, 신경 발생 이상과 그 밖의 발생관련 이상증들, 당뇨병, 심혈관들과 같은 많은 질병들과 증후군들의 발병 기전에 관해 최근까지 밝혀진 기전들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전자 발현 조절(전사조절)과 그 조절이상에 근거한 질병 기전들에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매우 많다. 이들에게 본 리뷰는 기초 학술 이론 개발과 이에 근거한 관련 질병의 예방과 치료 전략을 세우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저자
T.I. Lee1 and R. A. You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3
권(호)
152
잡지명
Cel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37~1251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