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표면 전환자인 Gelatinase(MMP-2와 MMP-9)에 근거한 항암약제 개발 전략
- 전문가 제언
-
○ Mmatrix metalloproteinase(MMP)들 중 MMP-2(gelatinase A)와 MMP-9(gelatinase B)는 암과 연관성이 크고, 분비형인 효소들이다. Gelatinase(젤라틴 가수분해효소)들은 여러 표적들[세포외 기질(ECM), 시토카인, 성장인자, 케모카인과 시토카인/성장인자 수용체 등]을 분해시켜서 세포분화, 세포이주, 세포침투, 염증 및 혈관신생 등과 관련된 여러 신호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작용들을 가진다. 또 gelatinase는 그 활성부위를 통해 세포표면 막관통 단백질들과도 작용한다. 이 리뷰는 세포 표면-결합 gelatinase들의 비-분해적 신호전달계의 역할과 그에 의한 세포 생존, 이주와 혈관신생에 대한 효과들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항암약제로서의 gelatinase 저해제들의 문제점과 새로운 gelatinase-표적 저해제들 개발 전략에 대해 제시한 것이다.
○ 요약하면, gelatinase들의 기능은 그들의 단백질 분해능에 의존하는 것, 즉 ECM 성분들의 절단, ECM-연관생장인자들의 방출, 막에 박혀 있는 시토카인들과 수용체들의 부분분해와 케모카인들의 활성 조절 등을 통해서 gelatinase들이 신호분자들 공정을 거쳐 종양세포의 생장, 이주, 침투와 혈관신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단백질 분해능과 관계없이 gelatinase들이 세포표면과의 작용에 의한 막 외부에서 내부로의 신호전달(outside-in-signaling)에 의한 세포행동 양상들 조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새로운 항암약제 개발전략은 더 선택성 높은 MMPI들의 개발과 이 효소들 각 활성부위의 선택적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하겠다는 것이다.
○ 국내 여러 생명과학 관련 대학들과 연구소 종사자들 중 항암약제의 개발이나 암치료 개선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많이 있다. 이들이 본 리뷰에서 제시된 것처럼 gelatinase들의 2 가지 작용기전에 근거한 항암약제 개발과 치료 전략에 적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저자
- Brigitte Bauvo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2
- 권(호)
- 1825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9~36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