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자기기용 유연성 필름 시스템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최근 디스플레이, 인쇄 메모리, 스마트 섬유, 유연성 전지, 의료용 이미지 센서, 광전지, 전자종이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응용할 수 있는 유연성 필름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 유연성 필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금속도선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들을 폴리머 기판에 결합시킨 것으로서 휘거나 늘이더라도 기계적 손상과 전기전도도의 상실이 없어야 한다. TFT의 반도체재료(Si, SiNx)는 취성이 크므로 적절한 설계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폴리머와 결합된 필름의 변형이 일으키는 전기적,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상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 기존의 실리콘 TFT 증착법은 고열을 필요로 하므로 폴리머 기판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실리콘 대신 유기반도체의 사용, 내열성 폴리머의 개발 등이 시도되고 있다. 또 탄소나노튜브 반도체를 인쇄기법으로 폴리머 기판 위에 부착시키는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 유연성 필름 시스템의 제조법에는 LCD 공정의 유리판 위에 부착시킨 유연성 폴리머 필름 위에 기존의 에칭공정으로 TFT와 금속도선을 삽입한 후 필름을 벗겨내는 것과 roll-to-roll 공정으로 필요한 회로를 폴리머 위에 직접 인쇄하는 것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 위의 제조법 중 전자는 국내의 삼성, LG와 해외의 몇몇 업체가 선호하는 방법으로서 기존의 LCD 시설을 약간 변경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지만 큰 화면의 실현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 있다. 후자는 HP가 지지하는 방법으로서 제조원가가 월등히 싸겠지만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신기술로 공장을 새로 지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 국내에서는 2010년에 지경부 지원의 10대 핵심소재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소재”에 대한 연구가 제일모직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여러 업체, 연구소 및 대학이 참여하여 2018년까지 40“급 TV와 80”급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용 소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부 연구 분야는 고내열성 폴리머 필름, 배리어 코팅소재, 고전도성 투명전극소재 등이다.?
저자
Megan J. Cordil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62(6)
잡지명
JOM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14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