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드리머 구조를 가진 아크릴 올리고머
- 전문가 제언
-
○ 30년 전만 해도 화학반응은 주로 열 에너지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와 방사선 에너지와 광에너지를 화학반응에 응용하는 UV경화시스템 연구가 확립되어, 모든 산업분야 특히 도료 접착제 분야에서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 아크릴 재료에 대한 UV 경화시스템을 이용한 경화반응결과는 경화시 수축이 크다는 점과 낮은 내후성의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목적으로 아크릴 덴드리머 구조를 갖는 아크릴올리고머를 합성하고 이 올리고머와 하이퍼브랜치 폴리머에 대하여 그 물리화학적 성질을 비교하였다.
○ 결론적으로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및 덴드리머의 골격 응용은 경화시 일어나는 낮은 수축도, 경도 및 유연성 향상 등 기존 아크릴계 UV경화재료의 결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유용함을 알았다.
○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 초부터 가구업계를 비롯하여 인쇄잉크, 낚싯대 업계에서 UV 경화시스템을 도입활용하고 있으며 광경화수지 개발에 상당히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 환경부하를 줄이는 아이템의 하나인 UV 경화시스템은 오래도록 연구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시장이 확대되리라 예측된다. 여기서 UV경화에 있어서 덴드리머와 같은 나노구조 소재의 아크릴올리고머는 중요한 개선의 breakthrough가 될 것이다. 구조를 연구함으로서 아크릴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분야로 응용이 확대되기를 기대해 본다.
- 저자
- sariwatari yeosiuk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59(1)
- 잡지명
- JETI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1~105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