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클라이언트 서버 간 미디어콘텐츠의 공유관리(DRM)

전문가 제언
○ 국내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2007년 10조 원 규모에서 2012년에는 16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저작권보호센터의 통계에 의하면 온라인에서 불법 복제된 콘텐츠로 침해 규모는 약 1조 4,000억 원 규모이다. 시장의 경우, 전 세계 DRM 시장규모는 2009년 8,500만 달러에서 2014년 16억 4,400만 달러로 증가가 예상되며 국내 DRM 시장 규모는 약 430억 원이며 2014년 64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디지털 콘텐츠 활용의 급격한 증가와 스마트폰, 태블릿 PC등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보급 확대로 디지털 콘텐츠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존의 DRM기술은 호환성이 부족하다. SDMI/AAP/OeBF/MPEG-21 등 다수 표준화 조직들이 있으나 이해 상충으로 표준화가 지연되고 있으며, 모바일 플랫폼 종류가 늘어나면서 Kernel이 아닌 Application 자체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단일 DRM으로 다수단말에 동시적용 가능한 다중DRM 개념도 제기되고 있다.

○ 현재 MS-DRM, OMA DRM, Helix DRM, FairPlay DRM 등 다양한 DRM 기술이 있으나 호환성 보장 시 가입자 이탈우려, 호환에 따른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 등으로 각 업체는 DRM 기술의 호환성 시현에 부정적이며 APPLE과 같이 의도적으로 폐쇄 독점적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DRM 기술 적용에 따른 조작불편성, 단말 제한, 접근절차 등으로 DRM-free 운동을 추진하거나 역으로 DRM-free의 개방성과 콘텐츠 확산력을 이용하여 사업화하려는 측면도 있다.

○ 애플이 소비자들에 밀려 2009년 DRM free 선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련기술을 드라이브하고 주장하는 특허관리가 인상적이다. 20111년 3월 공표한 본 특허기술 내용에서도 애플자신의 특허이면서 새로운 DRM기술을 구현한다기보다 기존의 DRM기술에 미디어업체가 요구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융통성을 부여하는 기술로 특허를 챙기고 있다.

○ DRM-free가 요금이 비싸도 다양한 단말에서 이용이 가능하고 편리하지만 기존 DRM기술이 병행되어야 하고 워터마킹이나 포렌식 마킹방법에 대한 응용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APPLE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1
권(호)
WO2011003164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2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