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에너지 시나리오에서 2030년까지의 차량연료 소비량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에너지와 환경을 모두 고려하면서 차량연료 소비량을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인 LEAP(Long-range Energy Alternative Planning)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030년까지 중국의 차량대수 및 차량연료 소비량을 추산하였다. 또한 현재추세, 차량연비 개선, 대체에너지 보급의 3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시나리오별 총 차량연료 소비량을 추산하여 비교함으로써 중국의 차량연료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중국은 2030년의 총 차량대수가 8.7억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차량연료 소비량이 지금보다 5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인구 1,000명당 차량대수가 116대로서 2006년 현재 미국 812대, 유럽 599대, 우리나라 345대(2008년)와 비교하면 높지 않은 수치이지만 중국의 인구를 감안하면 엄청난 차량대수이다. 따라서 중국이 수송연료 분야에서 대체에너지를 성공적으로 보급해나가지 못하면 세계 석유시장을 크게 교란시킬 요인이 될 것이다.
○ 중국은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을 위해 차량 증가를 권장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막대한 석유 수입량과 소비량에 따른 에너지안보 및 온실가스 감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석유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연료 증산정책을 실시하고 연비 개선운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편 경유 버스를 압축천연가스(CNG) 버스로 대체하는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 중국의 바이오에탄올 정책은 1999년부터 남는 옥수수를 원료로 하여 시작되었지만 2005년부터는 식량 감소문제로 이를 제한하기 시작하였다. 2007년 현재 햇옥수수의 바이오에탄올 원료비율이 86%나 되어 큰 문제가 되었다. 중국은 에탄올을 위한 옥수수 사용량을 전체의 26%로 제한하게 되었는데 이로써 대체연료 공급이 큰 어려움을 맞고 있다.
○ 우리나라는 세계시장을 상대로 자동차를 판매하고 있으며 중국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다. 중국시장의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차량연료정책을 세심하게 파악해야 할 것이며 이 자료는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 저자
- Zhang Qingyu, Tian Weili, Zheng Yingyue, Zhang Lil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3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6860~6867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