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호주 대륙의 우라늄광상 짐재력

전문가 제언
○ Uranium의 주요 광석광물로는 Uraninite(섬우라늄석; UO2; 46∼88%), Pitchblende[역청우라늄석; (UO2+U3O8)], Brannerite[브랜너라이트석; (U,Ca,Ce)(Ti,Fe)2O6], Carnotite[카노타이트석; K2(UO2)2(VO4)2?3H2O; 53∼55%], Tyuyamunite[튜야무나이트석; Ca(UO2)2(VO4)2?3-10H2O; 49∼54%], Autunite[인회우라늄석; Ca(UO2)2(PO4)2?10-12H2O; 48∼50%], Coffinite[코피나이트석; U(SiO4)1-x(OH)4x; 41∼60%] 등이다.

○ 천연상태의 우라늄(Uranium)은 원자핵 속의 양성자 수와 중성자 수의 합에 따라 U234(0.005%), U235(0.7%), U238(99.2%) 등으로 분류되며, 이 중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되는 것은 U235이다. U235는 중성자를 흡수하면 원자핵이 둘로 쪼개지면서 중성자를 2∼3개 내놓는 핵분열을 일으킨다. 우라늄도 땅에 묻혀있는 광물이어서 석탄처럼 캐내서 흙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해야 한다. 또 0.7%에 불과한 U235의 비율을 2∼5%로 높여주는 농축작업을 해야 원전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 U-농축은 원자력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아주 위험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농축을 하지 않고 미리 농축 가공된 우라늄을 수입해서 핵연료로 이용하고 있다.

○ 한반도에도 (1) 함-U-흑색슬레이트광상(옥천계와 공주), (2) 선캠브리아기 변성암에 수반된 광상(가평-양평지역), (3) 사암형 광상(평해 U-광상), (4) 맥상광상(동점 U-광상), (5) 페그마타이트광상(무주, 김화-철원, 옥동, 오대산) 등에 그 부존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옥천계 함-U-흑색슬레이트광상은 충북 충주시 매현리에서 충남 논산군 벌곡면 수락리까지 북동에서 남서로 120km 연장 분포한다. 1980년대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의 탐사결과 옥천계 U-광상의 매장량은 약 1억 톤으로 평균품위 U3O8 0.035%인 저품위로 알려져 있다.

○ 세계 최대 U-매장량은 호주, 카자흐스탄, 캐나다, 남아공, 브라질, 나미비아, 러시아, 미국의 순이다.
저자
O.P. Kreuzer, V. Markwiz, A.K. Porwal, T.C. McCuai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8
잡지명
Ore Geolo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4~366
분석자
오*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