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의 질산이온 제거에 유망한 흡착제들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에서 검토된 흡착제들의 질산이온 제거성능 연구결과들은 물속에 질산이온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조건에서 얻어진 결과이기 때문에, 흡착과정에서 질산이온과 경쟁이 되는 다른 종류의 음이온들이나 흡착성능을 저해하는 부유물들이 존재할 경우, 제거성능은 크게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 질산이온 제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착제에 여러 가지 화학적 처리를 하는 방안들은 흡착제의 가격상승 요인이 되기 때문에 흡착공정의 경제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농업폐자원이나 산업폐자원을 질산이온 제거에 활용하면 폐기물 재활용과 수질 정화의 이중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흡착법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질산이온 제거성능이 우수한 흡착제의 선정 뿐 아니라 흡착제의 재생이나 흡착공정의 설계에 관한 연구들도 병행되어야 한다.
○ 국내에서도 지하수나 폐수에서 음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본 논문에서 질산이온 제거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지목한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 LDH)이나 키토산( chitosan)을 사용하여 비소, 수은, 크롬 같은 중금속 이온이나 요오드나 유기 음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 국내에서도 질산이온의 오염수준이 높을 곳으로 예상되는 축산단지나 농업지역의 지하수를 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제성 있는 흡착제와 흡착공정의 개발은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Amit Bhatnaga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168
- 잡지명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93~504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