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튬이온 2차전지의 수명평가 및 열화메커니즘

전문가 제언
○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휴대형 전자기기용으로부터 하이브리드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등의 전동차량으로 사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고용량/고성능 및 장수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이클 수명 및 보존수명 등이 길어져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가속수명평가법 등의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 이 보고서는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의 위탁연구 사업으로 산업기술종합연구소와 일본 전력중앙연구소가 시행한 연구의 요약보고서이며 하이브리드자동차용의 NCA(Ni-Co-Al)계 양극 활물질을 사용하는 이차전지의 보존 열화와 사이클 열화에 대한 가속수명평가법이 확립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출력 저하의 요인으로 표면에서의 리튬 결핍에 기인한 층간구조의 파괴를 들고 있다. 앞으로의 계획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수명평가기법을 확립하는 것이라고 한다.

○ 우리나라에서 전동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LG화학과 Samsung SDI, Kokam 등이 있는데 앞으로 전동차량의 대량 보급시대를 이들 기업이 책임져야 할 것이다. 차량탑재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조속한 실용화와 기술 진전을 위해서는 가속수명평가기법을 조속히 확립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 정부도 휴대형 IT용, 전기자동차용, 로봇용, 전력저장 및 의료용 등의 이차전지를 대상으로 차세대 전지산업의 발전전략과 기술로드맵을 작성한 바 있다. 이들 계획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서도 고용량/고출력 및 장수명 이차전지의 가속수명평가기법은 중요할 것이다. 한편, 미국 에너지부의 Energy Storage program에서도 장기 연구개발 사업으로서 가속수명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있는 점도 이 기술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저자
M. Shikan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1
권(호)
65(4)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5~19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