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열 민감도 : 재검토
- 전문가 제언
-
○ 열 민감도는 신경해부학적 관점에서 말초 신경계와 중추 신경계의 성분에 의존한다. 그 성분은 피부의 자유 신경종말 및 Aδ와 C 일차 구심성 신경섬유, 척수의 배각(등 뿔)에서 이차 체성감각 신경세포, 척수시상로, 시상 및 일차와 이차 체성감각 피질이다. 정신물리학 분야에서 정량적으로 감각을 평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도구가 개발되었다. 이들은 문턱 값과 문턱 위 값, 내성, 인식 강도 및 자극 인식의 수준을 측정한다.
○ 노화는 열 인지에서 점진적인 감소와 연관된다. 냉과 온의 인지에서 그리고 사지에서 열 민감도의 감소는 아주 뚜렷한 감소가 관찰되었고 그 감소의 양상은 원위-근위 양상을 보인다. 이것의 주요 근본 원인은 피부의 노화와 그 다음에 온도수용기의 밀도와 얕은 피부 혈류량의 감소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몇몇 동물 연구의 결과는 말초 신경계, 특히 섬유 손실과 전도속도의 감소에서 변화도 관련될 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
○ 나이와 관련된 열 민감도의 하락에 대한 근본 기작은 완전히 입증되기에는 너무 멀다. 동물 모델은 신경 섬유 노화의 기능적 결과에 대하여 중요한 정보를 확실히 제공하였다. 그러나 얇은 유수와 무수의 신경섬유에 관한 나이의 효과, 그리고 이것이 열 민감도의 변화로 어떻게 번역하는가를 좀 더 밝히기 위하여 동물과 인간에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더 많은 연구는 냉과 온의 민감도에 관한 나이의 영향을 명확하게 하고 열 수용기의 기능에 관한 동년배의 혈액 공급에서 변화의 영향을 더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보장한다. 즉, 나이와 관련된 열 민감도의 감소가 피부 혈류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지 여부가 밝혀질 것이다. 또 다른 조사의 방향은 나이와 관련된 열 민감도 손실의 원위-근위 양상에 대한 근본 원인을 더 많이 해명하는 것이다.
- 저자
- Slava Guergov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10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0~92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