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막분리 연구 동향

전문가 제언
○ 막분리 공정은 에너지 절약적이며 콤팩트한 장치에서 연속운전이 용이하다. 따라서 수처리 뿐만 아니라 바이오, 의료, 보건 및 에너지산업 등의 분야에서 실용화가 착실히 진행 중이며 그 규모는 앞으로 크게 확대될 것이다.

○ 수처리용 막은 산업용수, 상하수, 담수, 초순수, 배수의 제조 및 처리 등 대상 시장의 범위가 매우 넓다. 최근 수처리는 기존의 화학처리나 증류 방식에서 막분리 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성장률 측면에서는 고성능 막의 수요 증가에 따라 절반 정도이던 MF막은 비중이 점차 감소하는 반면에 UF막과 RO막은 증가 추세이다.

○ 분리막 성능은 제올라이트 막에 의한 유기수용액 탈수나 세라믹막에 의한 정수처리 등과 같이 재료가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막재료 연구에 대한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특히 PA계 하이브리드에 의한 RO막 및 PS나 PVDF와의 하이브리드화에 의한 MF/UF막이 주목된다.

○ 우리나라는 10대 핵심소재(WPM) 가운데 다기능성 고분자막 소재를 선정하고 2010~2018년 동안 7315억원을 투자한다. 수처리용 막은 한국화학연구원과 기업체에서는 효성, 삼원엔지니어링, 웰크론 등이 참여하며 2018년까지 세계시장 점유율 30%가 목표다. 한편 국내 원천기술로 개발된 국내 최대의 아리수정수센터의 PVDF 분리막/모듈 및 이를 응용한 고도정수처리 시스템이 2011년 4월 본격 가동되는 등 현재 6곳인 첨단 분리막 정수장을 2018년까지 200개 정도로 늘릴 계획이다.

○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 산업화, 기후변화 등으로 물 부족이 심화될 전망이며 전체 수자원의 97% 이상을 차지하는 해수 담수화 설비만이 살길이다. 이에 최근 우리나라는 걸프만 주변 국가를 중심으로 많은 RO막에 의한 대형 담수화 플랜트를 수출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특히 원유 유출과 걸프만 특유의 많은 폐쇄성 수역에 의해 수질이 최악이므로 이에 따른 대응으로는 보다 효율적인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저자
TOSHINORI TSUR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1
권(호)
67(3)
잡지명
纖維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5~80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