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 COX-2 신호와 암
- 전문가 제언
-
○ 흡연과 관련된 암과 다른 질병의 증가는 20세기에 가장 심각한 문제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본다. 대략 전체 암 발생의 1/3이 흡연에 기인하고, 또한 흡연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과 당뇨등도 심각한 문제이다. 금연은 흡연으로 인한 암과 다른 질병을 예방할 수가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고 약물에 의한 암 예방은 효과적인 추가적인 전략으로 지금 담배 피우는 사람, 먼저 피웠던 사람과 간접 흡연자에게도 해당된다.
○ 암의 시작과 진행에서 COX-2와 유도체인 프로스타노이드에 관한 리뷰에서, COXIBs는 흡연자의 암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항암제로 여겨졌으나, 장기간 높은 용량의 COXIBs를 사용하면 리포옥시게나제로 인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세레콕시브는 아라키돈산에서 리포옥시게나제 통로를 차단하여 COXIBs의 부작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래서 COX-2 하류 통로를 이해하는 것이 항암제를 개발하는데 좋은 기회를 부여한다.
○ 근래에 TxAS의 억제제는 방광암 세포를 죽게하고 시스프라틴과 탁솔 같은 암 치료제의 민감도를 높인다. 더욱더 폐암 환자에서 흡연 환자는 비 흡연 환자보다도 TxAS의 발현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고, 더욱더 TxAS의 억제제인 푸레그레래이트와 TP의 대립제인 SQ29548는 NNK 유도 세포 성장 인자의 발현을 현저히 억제한다. TP의 신호에 추가하여, PGI2 신호 체계는 PPARγ를 활성화하여 암을 억제하는 결과 온다. PPARγ의 길항제인 트로그리타존은 NNK 중재 암 진행을 막을 수가 있다. 흡연 관련 TxA2와 PGI2에 대한 연구는 PGE2 보다도 덜 되었으나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결론적으로, 흡연에 의한 암에서 COX-2로 유도된 PEG2/TxA2의 신호 전달 기작에 대한 축적된 데이타에서 PGE2와 TxA2의 감소하는 방법은 흡연 관련 암을 억제하거나 예방하는데 좋은 길을 열어줄 것이다. 서울대 서영준 교수는 암 예방과 관련 COX-2의 발현 억제에 관한 연구를 많이 하고 흡연 관련 대사에서는 PGE2를 연구하기 시작한 편이다.
- 저자
- Huang, Ch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1815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58~169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