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변환자와 전사 활성자(STATs)-세포 신호에서 암 생물까지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1990년에 STAT 계의 단백질이 발견된 이후, STAT의 구조, 기능과 신호 유도와 전사 인자의 규제 기작 등 여러 면이 밝혀지고 있다. STATs는 여러 다양한 기능이 있고, 여러 생물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STATs는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규제하고, 면역 체계와 조직의 발달에 관여한다.
○ STATs는 여러 질병에 관여하는데, 특히 여러 암, 염증 과정과 면역 결핍 등에 관련한다. 이런 STATs의 고유성은 임상에서 치료를 하는데 목표가 될 수가 있다. JAK/STAT 분야는 많은 생물학자의 상상력을 북돋우는 흥미로운 연구가 될 수가 있고,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유용한 지식과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치료를 할 수가 있을 것이다.
○ STAT의 발현은 세포 주위의 미세환경에 의하여 좌우된다. 짧은 STAT 이성체는 암세포에서 많이 발현되어, 앞으로 이런 이성체를 목표로 한 연구와 SOCS 발현 기작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유용한 phytochemicals을 JAK-STAT의 신호 경로를 통한 STAT의 발현, 유비퀴틴-프로 테오솜에 의한 단백질 분해와, SOCS의 발현 기작을 이해하고 유도할 수 있는 연구를 하여 이를 암 치료에 적용하는 응용 연구가 필요하다.
○ 국내에서는 phytochemicals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다. 예로서 alkaloid camptothecin이 JAK2와 STAT3을 억제하여 대장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고 (원자력병원 김은주 박사), piceatanol이란 polyphenol이 IL-6를 통하여 전립선암의 이동과 침윤을 억제하는 실험하고 (한림대학 윤정한교수), 여러 한약을 조합한 보정방독탕이 JAK2/STAT5를 통하여 조혈작용을 하는 연구 (경희대 한의대 김성훈 교수)와, 포도에 있는 resveratol이 STAT1의 활성을 저해하여 IFN-γ에 의한 염증을 감소하는 연구 (충북대 김영수 교수) 등이 있다.
- 저자
- Santos, Costa-Perei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1816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8~49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