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판라이트에 의한 자동차 수지 글레이징 개발

전문가 제언
○ 최근 자동차 시장에서는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일환으로서 하이브리드차나 전기자동차 등 화석연료의 소비를 억제하는 차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연비향상을 위한 방책으로서 차체의 경량화가 유력한 수단으로 되고 있어 부품의 수지화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충격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투명성, 자기소화성 등 특성이 뛰어나 전기·전자분야, 정밀기계분야, 자동차분야, 의료분야, 식품 잡화분야 등 여러 가지 용도에서 채택되고 있다. 특히 범퍼,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판 및 창유리 등의 경우 경량화 효과가 높아 수지화 글레이징에 대한 연구개발이 왕성하다.

○ 그러나 이들 합성수지 성형품은 표면의 내마모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경질 물체와의 접촉, 마찰 등에 의해 표면에 손상을 받기 쉽고, 표면에 발생한 손상은 상품가치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성형품 표면의 내마모성과 내스크래치성을 개량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 이 논문은 자동차 및 철도차량용 창의 중량을 감소하여 차체를 가볍게 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수지 글레이징에 대한 신소재 기술 및 실리콘계 하드코트 제제, 수지 글레이징을 위한 새로운 가공기술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현재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이 플라스틱화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재적소에 플라스틱 재료를 선정하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글레이징의 경우 약점인 표면의 상처나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글레이징 표면의 하드코트제, 내스크래치성 그레이드 개발, 압출 및 사출성형기술에 대한 연구가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다.
저자
Hotaka Toshia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1
권(호)
59(2)
잡지명
JETI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4~100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