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 아프리카에서 기후 변화에 적응: AIDS를 고려
- 전문가 제언
-
○ 본고는 남부 아프리카에서 AIDS 질병과 식량 안전에 영향을 주는 기후 변화간의 상호 관계를 논하고 있다. 특히 남부 아프리카에서의 식량 불안의 원인 및 HIV, AIDS와 기후변화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새롭게 변형된 기근“ 이라는 가설은 식량 불안 및 고 HIV 만연사이의 공존과 상호작용은 가정과 사회가 빈곤의 소용돌이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근을 촉진을 시킨다는 것이다.
○ 기후 변화가 전 세계 국가들이 부족한 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 자국 위주의 정책을 실행하고, 상승하는 해수면과 가뭄을 피하려는 환경 난민들과의 갈등을 불러일으켜 2040년까지 세계화를 종식시킬 것이라고 국가 안보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 전 세계가 처한 환경과 관련된 문제는 특정국가 단독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또 다른 국가가 처한 문제를 방관하는 것 역시 궁극적인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가 간 갈등으로 초래되는 세계화 체재의 붕괴 또한 큰 파괴력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지구 온난화의 환경에 대하여 일차적 책임이 있다. 따라서 전 세계 기후변화 적응기금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책임이 있으며, 전 지구적인 환경 난민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려는 노력에 매진해야할 것이다. 국가 안보를 지키는 일차적인 수단은 전 세계가 함께 공존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활동이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정책으로 본격적으로 채택된 것은 제3차 기후변화 종합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2차 종합대책에서도 비중은 낮지만 주로 연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적응활동이 추진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기후변화 모니터링 및 방재기반 구축"과 "생태계 및 건강 영향 관련 연구개발" 의 3차 사업이 추진되었다.
- 저자
- Scott Drimi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3
- 잡지명
-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78~784
- 분석자
- 한*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