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낭창 발병에서 B세포의 역할

전문가 제언
○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또는 루프스라고 하는 이 질병은 자가면역 질병에 의해 일어나는 만성 염증이며 관절, 피부, 신장, 뇌, 허파, 심장, 장막 그리고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등 어떤 기관에서도 발병할 수 있다. 이 병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9배 더 많이 일어나며 특히 임산부에서 많이 일어난다.

○ 우리 몸의 면역계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병원균과 같은 외부 물질을 제거하여 몸의 안전을 도모한다. 그러나 면역계 구성원들 중의 일부가 기능장애를 일으켜 정상적인 항체 대신에 자체의 분자, 세포, 또는 기관을 공격하는 자가항체를 생산한 결과로 루프스, 1형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 걸리게 한다. 자가항체는 B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따라서 B 세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 B 세포는 정상항체 뿐만 아니라 자가항체도 만들기 때문에 정상항체만 만드는 B세포를 선별하여야한다. B 세포와 T 세포는 이 세포들의 발생의 초기단계에 양성 선택과 음성 선택을 받게 되고, 자가항원들과 강하게 결합하는 B 세포들은 죽임을 당하거나 억압된다. 그러나 자가항원을 만드는 B세포들이 아직 알려지지 않은 원인에 의해 검사점(check point)을 피해서 벗어날 수 있고 또한 marginal zone과 follicullar B cells이 병원성 자가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 국내에서도 루프스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루프스에서 ER-stress 와 관련된 autophagy(자식증)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치료제의 표적을 얻는 연구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염, 루프스 등 면역계 질환에 대한 한방제제의 효능연구, 임상에서 루프스와 병발하는 합병증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 루프스는 아직 치료하기 어려운 난치병으로 남아있다. 이것은 이병의 근본 원인을 밝히지 못했기 때문이며 따라서 자가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가 주목을 받는다. 앞으로 병원성 자가항체를 생성하는 B 세포를 표적하기 위해서는 이 세포들의 표현형질들이 확인되어야 하고, 루프스에서 B 세포의 역할이 더 잘 알려져야 할 것이다.
저자
Emil Na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42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43~550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