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R 제일벽의 열부하와 형태설계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에서는 ITER의 성형된 제일벽 개념이 소개되었다. 2004 FDR(Fi- nal Design Report) 벽의 대부분 특성(모듈 분활, 플라스마 대향장치기술, 플라스마 대향재료)을 유지하면서, 본 개념에서는 제일벽 패널 측면의 플라스마에서부터 오는 강한 평행열유속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한다. 패널 모서리의 과도한 베릴륨 온도는 정규가동 중 피할 수 있다. 용기꼭대기의 강렬한 열유속은 설명될 수 있으며 열유속을 통한 광채로부터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안쪽(inboard)과 바깥쪽(outboard)에서 7.5MW까지 가능하다. 이는 패널의 40%에대한 5MW/m2 기술패널을 사용함으로서 가능하다.
○ 토카막 리미터의 설계는 다이버터(divertor)가 가장 선호되는 플라스마벽 상호작용체계였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체계였다. 리미터설계는 기계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한 실험을 위해 개발된 도구는 다음 실험에 쉽게 재사용되지 못한다. ITER 제일벽은 그것이 고도로 분활된 개념과 또한 허용된 커다란 정렬불량(5mm)을 고려해야 함으로 대단히 독특하다. 모든 입력과 경계조건이 양호하게 정해졌더라도, 벽/리미터 설계과정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 핵융합로 제일벽은 플라스마와 인접하는 부품으로서 높은 중성자속 및 우수한 성능을 유지해야 한다. 핵융합로 재료개발의 주된 방향은 삼중수소 증배 재료 및 운전 온도에 부합되는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삼중수소 증배 재료와 냉각재가 동일하게 Li인 경우에는 V합금이 최적의 재료로 고려되고 있으며, 삼중수소 증배 재료가 Pb-Li이고 냉각제가 물인 경우와 삼중수소 증배재가 He인 경우,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Ferritic/Martensite, F/M) 강이 유망한 재료로 연구되고 있다. 또 삼중수소 증배재료와 냉각재가 모두 Pb-Li이면 SiCf/SiC가 고려되고 있다.
○ 한편 국제 핵융합 실험로(ITER)에서는 Be과 Cu합금 및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SS)이 제일벽 재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한편, 핵융합로 제일벽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재료들이 접합을 통하여 최종 부품으로 제조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종재료의 접합기술이 제일벽 제조의 핵심기술로 고려되고 있다.
- 저자
- R. Mittea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85
- 잡지명
- Fusion Engineering and Desig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049~2053
- 분석자
- 김*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