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광상 형성 이론에 대한 소고

전문가 제언
○ 금광상 형성 이론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여러 지질-광상학자들에 의해 시행되어 왔다. 대표적인 연구가로 겔-교대작용의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기술한 사람은 Lindgren(1925)이다. 괴상의 유화광상 메커니즘에 주의를 기울인 최초의 러시아 지질학자는 A.N. Zavaritsky(1943)이다. 금광상의 다양한 광상성인에 대한 연구로 열수광상 광석형성 이론의 기초석이 되게 한 사람은 러시아 과학 금광지질학교에서 광물학적 연구의 여성책임자였던 N.V. Petrovskaya(1960)이다.

○ 금광상의 성인에 대해서는 학자들 마다 약간의 차이와 평가도 있지만 대체로 다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천열수에 의한 천열수 금광상, 둘째는 열극을 충진한 관입암체의 광화용액에 의한 열수광상, 셋째는 접촉교대에 의한 스카른광상 그리고 넷째는 풍화잔류로 인한 2차적 광상인 사금광상 등이다. 일반적으로 천열수 금광상(Epithermal gold deposits)이라고 할 때 화산암을 모암으로 한 금광상을 지칭한다.

○ 한반도에 분포하는 많은 금광상은 열극을 충진한 관입암체의 광화용액 의한 열수광상 형이다. 금을 함유한 석영맥에는 대부분 황철석, 황동석, 방연석, 섬아연석, 유비철석 및 기타 유화광물이 함유된다. 석회암과 같은 탄산염광물로 구성된 암석은 관입암체인 화강암류와 접촉시 쉽게 반응이 일어나 접촉교대작용에 의해 금광상을 형성시킨다.

○ 현재 국제적인 금광상 탐사 추세는 주로 천열수 금광상(칼린형 금광상 포함)을 위시해서 열극을 충진한 열수금광상, 스카른금광상 및 사금광상에 집중되고 있으며 미국, 캐나다, 남미 칠레 및 일본 등지에서 탐사를 위한 기술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전남 해남에 소재하는 순신금광이 현재 개발생산하고 강원도 태백산광화대에 칼린형 금광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금광상으로서 그 가능성이 기대된다. 그리고 국내 4대강 하류에 대한 사금광상 탐사도 많이 수행되었으며 가능성이 또한 기대된다.

저자
Yu.G. Safonov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52(6)
잡지명
Geology of Ore Deposit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38~458
분석자
황*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