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조절에서 유비퀴틴 단백질분해효소계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본 리뷰는 유비퀴틴과 26S 프로테아솜으로 구성된 유비퀴틴 단백질분해효소계(ubiquitin proteasome system, UPS)에 의한 유전자 조절의 전사 단계에 여러 양상을 조절하는 단백질분해성 및 비-단백질분해성 역할에 대한 최근까지의 연구 성과들을 살펴 본 것으로써, 진핵세포 UPS의 구성원인 유비퀴틴의 유비퀴틴화 경로, 프로테아솜의 구성원인 26S 프르로테라솜, 20S 중심입자, 그리고 19S 조절입자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진핵세포 MHC II(Major Histocompatibility Antigen II, 2형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전사에 대한 비-단백질분해성 및 단백질분해성 조절 기전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 유비퀴틴 프로테아솜 경로가 세포주기 조절, DNA 손상복구, 신호전달, 막 소통, 신경 발생 그리고 전사 등 다양한 세포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이 알려져 있지만 아직 그 상세한 조절 기전에 대해서는 더 밝혀져야 될 과제로 생각된다. 또한 UPS에 의한 단백질 분해 작용의 변화가 세포기능의 조절이상을 일으켜 병이 발생될 수 있음이 인정되고 있으므로, 세포기능과 질병 유발에서 UPS의 분자생물학적 및 분자유전학적 기구들을 근거로 한 관련 질병들의 예방 및 치료에 응용도 가능하다고 본다.
○ UPS에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것은 극히 최근에 알려진 것이며, 국내에서도 서울대 생명과학부 C 교수 연구팀, 연세대 생명과학부 K 교수 연구팀 등 소수의 연구집단이 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들이 더 깊은 연구를 통해 UPS 관련 기전의 미흡한 부분들에 대한 기초 학술이론 정립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Bhat KP and Greer SF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1809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General Subjec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50~155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