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순환형사회, 저탄소사회에 대응한 도시쓰레기 중간처리 방식

전문가 제언
○ 폐기물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소각 열회수에너지와 고체연료에너지 및 열분해 생성물에너지로 나눌 수 있다.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생활폐기물에너지와 사업장폐기물 에너지(일명 지정폐기물에너지)로 나눠지고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서는 고상, 액상, 기상폐기물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다.

○ 도시쓰레기 처리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활용방안을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면서 ‘쓰레기는 폐기되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대체에너지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새로운 인식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도시쓰레기의 에너지로의 회수와 이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 감소와 같은 환경보전과 에너지 및 자원의 확보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도시쓰레기 폐기물의 재활용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 본고에서는 도시쓰레기로 배출되고 있는 쓰레기를 어떻게 중간처리 하느냐에 대한 고찰이다. 처음에는 개별소각기술의 고도화, 선진화에 대한 최근의 사례로부터 그의 기술가능성을 찾아내는 것과 이와 같은 기술자체의 향상에 있다. 플라스틱의 재활용기술(펠릿, 고로환원, 코크스화로의 원료)와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기술 등에 대하여는 최근 각종 학회지에서 특집으로 소개되고 있다.

○ 도시화와 산업발전에 따른 환경악화를 개선하기 위해 수십 년 동안 폐기물 관리대책을 실시해 왔지만 폐기물과 유틸리티의 통합관리를 통하여 에너지를 회수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잠재력은 아직도 막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쓰레기와 유틸리티의 통합관리로 에너지회수 및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시스템은 향 후 개발되어야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저자
Masaki Takaoka, Takahiro Masu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1(6)
잡지명
廢棄物資源循環學會論文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68~379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