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 가스화 반응기
- 전문가 제언
-
○ 식물 바이오매스는 다른 탄소자원보다 성장이 빠르기 때문에 바이오매스 원료의 이용은 화석원료 의존도를 줄일 수 있고 재생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매력적이다.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가스의 생산은 열과 전기의 경재적인 복합생산의 목적에서 그리고 특히 바이오연료는 시골경제와 농촌산업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이오매스 가스화는 석유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 바이오매스는 석탄에 비하여 많은 량의 산소와 수분을 함유하고 회분 량도 역시 높다. 생산된 합성가스는 타르농도가 높아 이들을 제거하기위한 제품으로부터 분리 및 정제공정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낮다. 발명에서는 전처리단계에서 바이오매스를 200~400℃범위로 가열하여 수분과 저-휘발성 성분을 기본적으로 제거하고 2차 산소원천으로 공기를 사용하여 공기분리공장을 두지 않아 경제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 바이오매스는 목재, 풀 또는 농산물 잔재 등 식물 유도의 자연물질을 포함한다. 바이오매스를 가스연료로 사용하면 가스화 과정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CO2의 량은 식물성장 시에 소모되는 CO2의 량에 해당되기 때문에 바이오매스의 연료사용으로 환경에 추가로 CO2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료에 석유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가 경제성 및 환경적 측면에서 대체에너지를 개발을 위해 지향해야할 방향이라고 판단한다.
○ 바이오매스는 식물 및 동물로부터 유도되는 다양한 자원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다른 연료와 같이 탄소, 수소, 산소 및 탄화수소를 함유하여 에너지 원료로 사용한다. 바이오매스는 그 형태에 따라 수분, 회분 등을 많이 함유하여 석탄보다 열량가치가 낮고 타르의 생성으로 가스화가 어렵다. 사전 불순물의 제거로 정제공정을 줄이고 반응효율을 높이면 우리나라에 적합한 대체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General Electric Company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WO2011000844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