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밀 연삭가공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독일전문가와 영국, 일본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새로운 생산과학기술에 관한 국제적 권위기구인 CIRP(The International Academy for Production Engineering)가 발간하는 CIRP Annals-Manufacturing Technology에 게재한 내용으로서, 첨단 초정밀 연삭가공기술과 응용 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지난 수십 년 동안, 광학(카메라, 디지털카메라, 프로젝터, 망원경/현미경, 분광기 등의 광학렌즈), 반도체(웨이퍼), 통신, 의료/바이오와 같은 여러 분야에서 정밀부품 수요가 매우 증가하였다. 향후 기기의 고/초고정밀화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가공기술 요구는 더욱 고정밀화하고 새로운 가공방법도 계속 출현할 전망이다.
○ 초정밀 연삭가공은 원래 세라믹, 카바이드, 유리, 경화강과 같이 경도가 높고 취성이 강한 재료나 반도체재료와 같이 가공이 어려운 재료로부터 고도의 표면마무리, 형상정확도, 표면품위를 갖는 부품들을 만들어내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 프로세스는 불충분한 표면 거칠기, 미세균열을 커버하기 위해 후속 연마 프로세스가 필요하지만, 시간?비용을 줄이기 위해 정밀연삭가공에 의한 고도의 표면품질이 더욱 중요하다.
○ 이 자료는 228개의 관련논문들을 인용하여 초정밀 연삭가공이 가능한 기술들(연삭가공기계, 연삭용 공구, 공구조건과 ELID연삭, 연삭액)과 응용분야(광학유리 제조, 광학몰드 제조, 천문우주용 렌즈, 웨이퍼 연삭, 마이크로구조물 연삭 등)의 동향들을 심층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국내 연구기관과 대학에서도 초정밀 연삭가공기술연구에서 많은 실적을 쌓아왔다. 최근에는 예컨대, “초소형 초광각 비구면 유리렌즈의 초정밀 연삭가공기술에 관한 연구”(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Vol.19, No.2, 2010) 등 많은 관련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산업구조상 초정밀 연삭가공기술의 경쟁력강화는 필연적이다. 산학연 협력에 의한 연구개발과 실용화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E. Brinksmeie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59
- 잡지명
- CIRP Annals - Manufacturing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52~671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